1-1. 페이지 스와이프
페이지 스와이프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화면을 좌우로 스와이프하여 페이지나 콘텐츠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그마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① 프레임 생성: 각 페이지를 나타내는 프레임을 생성합니다.
② 프로토타입 설정: 프로토타입 탭에서 각 프레임을 연결합니다.
③ 트리거 설정: "On drag" 트리거를 사용하여 스와이프 방향에 따라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합니다.
④ 스마트 애니메이션 적용: 부드러운 전환을 위해 스마트 애니메이션을 활성화합니다.
1-2. 텍스트 패럴랙스 이펙트
스와이프할 때 텍스트가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효과를 구현합니다.
① 거리 이동 및 수치 설정: 각 텍스트 레이어의 이동 거리를 다르게 설정합니다.
예: 첫 번째 프레임의 텍스트 x축 +150, 두 번째 프레임의 텍스트 x축 -150
② 스마트 애니메이션 사용: 프로토타입 설정에서 스마트 애니메이션을 활성화하여 부드러운 전환을 구현합니다.
③ 변수 활용: 피그마의 변수 기능을 사용하여 스와이프 진행도에 따라 텍스트 위치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2. 오버레이 애니메이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끝난 후 텍스트를 오버레이로 노출하는 효과를 구현합니다.
① 별도의 텍스트 프레임 생성:
- 오버레이될 텍스트를 포함한 별도의 프레임을 만듭니다.
- 이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들과 같은 레벨에 위치시킵니다.
② 프로토타입 설정:
- 스와이프 완료 후 도달하는 프레임에서 텍스트 프레임으로 "After Delay"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 "Overlay" 옵션을 선택하고 "Present as Overlay"를 체크합니다.
③ 오버레이 위치 조정:
- 오버레이되는 텍스트 프레임의 위치는 프로토타입 설정에서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이미지 패럴랙스 이펙트
이미지가 다른 깊이로 이동하는 효과를 구현합니다. 위에서 텍스트 포지션을 변경하듯 이미지의 레이어 순서와 x축 이동하면서 On drag와 After delay 트리거를 사용해주면 이미지 패럴랙스 효과를 줄수있습니다.
① 레이어 순서 유지: 각 프레임에서 이미지 레이어의 순서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② 구조 레이어명 통일: 각 프레임의 레이어 구조와 이름을 일관되게 설정합니다.
③ 이미지 위치 조정: 두 번째 프레임의 이미지를 스크린의 1/2만큼 겹치게 배치합니다.
④ 변수 활용: 스와이프 진행도에 따라 이미지 위치를 조절하는 변수를 설정합니다.
작업 시 주의 사항
- 레이어 구조 일관성 유지 : 트리거는 동일한 구조의 프레임에서 설정합니다.
- 레이어 명 일관성 유지 : 인터랙션 대상의 레이명이 상이할 경우 오류가 납니다.
- 사용자 경험: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을 설계해야 합니다.
'Web design > AI & UX·UI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mer] 프레이머 특장점과 활용 사례 (0) | 2024.12.28 |
---|---|
[Figma] Component & Variants (0) | 2024.07.19 |
[Figma] Figma Slides (0) | 2024.07.05 |
Prototyping Tools : Figma vs ProtoPie (0) | 2024.06.02 |
[ProtoPie] Improt : 디자인 파일 프로토파이에 불러오기 (2)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