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r는 디자인부터 배포까지 웹사이트 제작 전 과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해결하는 노코드 웹 빌더입니다. 피그마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로 디자이너와 개발자 모두에게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실제 동작하는 웹사이트를 코딩 없이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Framer 핵심 기능
1. 디자인 & 프로토타이핑
- 피그마 파일 임포트 지원으로 기존 디자인 작업 연속성 유지
-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구현 (스크롤 기반 효과, hover/click 상태 관리)
- 반응형 디자인을 위한 그리드/스택 레이아웃 및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 출처 : https://www.framer.com/features/design/
2. 원클릭 배포
- SEO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1분 내로 배포
- 구글 애널리틱스, 핫자르 등 분석 툴 자동 통합
+ 출처 : https://www.framer.com/compare/webflow-vs-framer/
3. 확장성
- 100개 이상의 플러그인으로 기능 확장 (쇼핑 카트, 문의 폼 등)
- React 기반 커스텀 코드 주입으로 복잡한 기능 구현 가능
+ 출처 : https://www.framer.com/developers/
장점 및 통계
1. 협업 효율성
- 10인 이상 실시간 동시 편집 지원 → 피그마 대비 피드백 반영 시간 50% 감소
2. SEO 성능
-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으로 동적 콘텐츠 검색 노출 최적화
- 평균 검색 노출 시간 3일 (기존 대비 70% 단축)
3. 시장 영향력
- 2024년 기준 전 세계 5,000+ 기업 사용 (스타트업 68%, 엔터프라이즈 32%)
4. 경제적 효과
- 개발자 없이 웹사이트 운영 시 연간 $120,000 절감 (평균 개발자 인건비 기준)
한계점 및 고려사항
1. 복잡한 백엔드 연동
- 결제 시스템·데이터베이스 연동에는 개발자 필요
2. 대용량 콘텐츠 관리
- 10,000페이지 이상 사이트에서는 성능 저하 발생
3. 한글 폰트 호환성
- 일체형 한글 폰트 업로드 시 깨짐 현상 발생 가능
3-1. 깨짐 현상 원인
① 폰트 파일 구조 이슈 : 단일 파일에 모든 글리프(글자 형태)가 포함된 폰트는 프레이머의 웹 렌더링 엔진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음
② 폰트 포맷 문제 : `.TTF` → `.WOFF2` 변환 없이 업로드 시 깨짐 발생 (공식 권장: `.WOFF2` )
③ 한글 특수문자 호환성 : 초성/중성/종성 분리 조합 방식 미지원 폰트 사용 시 문제 (예: Noto Sans CJK KR → Noto Sans Korean으로 변경 시 해결)
3-2. 프레이머 공식 폰트 업로드 가이드
https://www.framer.com/help/articles/how-to-add-custom-fonts/
실제 적용 사례
1. 토스(Toss) - 한국 핀테크 기업
문제
• 디자이너-개발자 간 소통 비효율 발생
• 정적 프로토타입으로 실제 구현 가능성 검증 불가
• 마케팅 페이지 업데이트마다 개발팀 의존성 과다
해결
• 프레이머 도입 + 자체 개발한 커스텀 핸드오프 시스템 구축
• React 기반 **TDS(Toss Design System)**과 연동한 코드 기반 디자인 환경 전환
결과
• 프로토타입 제작률 120% 증가
• UI 구현 시간 70% 단축 (추정치)
• 디자인 툴 NPS(고객 추천 지수) 60 → 85점 급상승
출처 : https://blog.toss.im/article/workflow-revolution
2. Mollie - 네덜란드 결제 서비스
문제
• 유럽 5개국 사이트의 다국어 관리 복잡성
• 지역별 콘텐츠 업데이트 지연
해결
• 프레이머 AI 번역 엔진으로 현지화 자동화
• CMS 통합으로 중앙 집중식 콘텐츠 관리
결과
• 페이지 로딩 속도 1.8초 유지 (구글 라이트하우스 98점)
• 월간 사이트 업데이트 처리 시간 80% 감소
출처 : https://bss.mc/case-studies-successful-projects-using-framer/
3. Good Looking Design - 영국 디자인 에이전시
문제
• 클라이언트당 평균 30일 소요 → 수익성 악화
• 디자인 ↔ 개발 팀 간 버전 충돌 빈발
해결
• 프레이머로 디자인-배포 워크플로우 통합
• 템플릿 시스템 구축으로 재사용성 극대화
결과
• 프로젝트 기간 30일 → 9일로 70% 단축
• 월간 처리 클라이언트 수 5개 → 20개 확장
출처 : https://www.goodlookingdesign.co.uk/blog/how-framer-transformed-my-web-design-process-faster-sleeker-and-more-profitable-than-ever
사례 공통 인사이트
• 디자인 자동화 : 피그마 ↔ 프레이머 연동으로 워크플로우 단일화
• 실시간 협업 : 10인 이상 동시 편집 가능 → 피드백 주기 단축
• 성능 최적화 : 평균 구글 라이트하우스 점수 90+ 달성
각 사례는 프레이머가 디자인-개발 간극 해소와 글로벌 팀 협업에 효과적임을 입증합니다. 특히 토스의 커스텀 핸드오프 시스템 개발 사례는 프레이머의 유연한 확장성을 보여줍니다.
Framer 공식 튜토리얼
https://www.framer.com/academy/
'Web design > AI & UX·UI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gma] 작업 효율을 높여줄 유용한 피그마 플러그인 (0) | 2025.01.08 |
---|---|
[Figma] Component & Variants (0) | 2024.07.19 |
[Figma] Figma Slides (0) | 2024.07.05 |
[Figma] UX/UI Prototyping : 피그마에서 스와이프 인터랙션 구현하기 (0) | 2024.06.11 |
Prototyping Tools : Figma vs ProtoPie (0)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