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design/Article8 2025년 주목해야 할 UX/UI 디자인 트렌드 1. AI 기반 개인화 인터페이스 : AI-Driven Personalisation in UX/UIAI와 머신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의 행동과 선호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개인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참여도를 증가시킵니다. AI 기반 개인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과거 행동, 검색 패턴, 구매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콘텐츠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경험을 할 수 있으며, 기업은 고객 충성도와 전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업 사례:1. Microsoft Copilot은 사용자의 행동을 학습하여 더 스마트한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는 곧 UI/UX 디자인의 표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 Am.. 2025. 1. 15. UX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도구 모음 UX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도구를 서치해 봤습니다!분석 도구를 통해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인사이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UX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각 도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규모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도구가 무료 버전을 제공하므로, 유료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전에 무료 버전을 먼저 사용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Google Analytics (무료/유료)- 웹사이트 트래픽, 사용자 행동, 전환율 등 기본적인 웹 분석 지표 확인- 사용자 유입 경로, 이탈률, 세션 시간 등 파악- 머신러닝을 활용한 고급 인사이트 제공- https://marketingplatform.google.com/about/analytics/ 비즈니스를 .. 2022. 8. 22. UX 데이터 분석 관련 용어 UX 디자인에서 데이터 분석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UX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주요 용어를 정리해봅시다. 기본 지표PV (Page View) 정의: 페이지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횟수측정 방법: 웹 분석 도구(예: Google Analytics)를 통해 자동으로 측정UV (Unique Visitor) 정의: 중복을 제거한 순 방문자 수측정 방법: 쿠키나 IP 주소를 통해 고유 사용자를 식별세션 (Session) 정의: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이탈할 때까지의 일련의 행위측정 방법: 일정 시간(보통 30분) 동안의 연속적인 활동을 하나의 세션으로 간주체류 시간 정의: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나 사이트에 머문 시간측정 방법: 페이지 진입 시간과 이탈 시간의 차이를 계산쿠키 (Co.. 2022. 6. 17. UX 디자인 프로세스와 리서치 방법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본 모델: 더블 다이아몬드UX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초가 되는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은 문제 파악(Problem)과 해결책 도출(Solution)이 반복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 모델은 네 단계로 구성됩니다.1. Discover (발견)2. Define (정의)3. Develop (개발)4. Deliver (제공)1. Discover (발견) 단계이 단계에서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문제를 파악합니다. 리서치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정량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 설문 조사, 로그 분석 등을 통한 수치화 가능한 데이터 수집-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간접적인 조사 수행정성적 리서치 (Qualitative Research)- 개인 또는 소수 그룹 대상.. 2020. 11. 9. 웹표준 및 웹접근성/유효성 검사하기 웹 접근성 진단을 위한 프로그램 및 사이트 웹 접근성 진단을 위한 프로그램 및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1. Colour Contrast Analyser (CCA)텍스트와 그래픽/배경 이미지의 명도 대비를 체크해주는 프로그램스포이드 도구를 사용하여 두 색상의 명암비를 쉽게 결정할 수 있는 TPGi의 무료 색상 대비 검사기 도구WCAG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WCAG 2.0 레벨 AA는 일반 텍스트의 경우 최소 4.5:1, 큰 텍스트의 경우 3:1의 명암비 필요 - WCAG 2.1은 그래픽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에 대해 최소 3:1의 명암비 필요- WCAG 레벨 AAA는 일반 텍스트의 경우 최소 7:1, 큰 텍스트의 경우 4.5:1의 명암비 필요 Colour Contrast Analyser (.. 2020. 10. 23.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 터치 제스처 및 영역 터치 제스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터치 제스처와 터치 영역은 모바일 기기 사용성의 핵심 요소입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제스처를 이해하고 최적화해야 합니다.터치 제스처의 종류- 탭(Tap) : 화면을 짧고 가볍게 터치하는 기본 동작- 더블 탭(Double Tap) : 빠르게 두 번 연속 터치- 프레스(Press) : 화면을 2초 이상 길게 누르는 동작- 스와이프(Swipe) : 화면을 일정 거리 밀어내는 동작- 플릭(Flick) : 빠르게 스크롤하는 동작- 핀치(Pinch) : 두 손가락으로 확대/축소하는 동작- 팬(Pan) : 손가락을 떼지 않고 계속 드래그하는 동작- 로테이트(Rotate) : 두 손가락으로 회전하는 동작터치 타겟 크기 기준 - 안드로이드: 48 x .. 2020. 9. 16. UI/UX 용어 :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 가이드 UI/UX 정의UX 디자인이 제품이나 서비스의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 및 설계를 다룬다면, UI 디자인은 그 경험을 시각화하는 구체적인 인터페이스를 다룹니다. 두 분야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성공적인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UX와 UI가 조화롭게 설계되어야 합니다.UI (User Interface) :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가 디지털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시각적 접점입니다. 버튼, 아이콘, 색상, 폰트 등 사용자가 직접 마주하는 모든 시각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UI 디자이너의 역할은 서비스나 제품을 사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도록 시각적으로 구현할지 고민하고 디자인(톤앤무드, 레이아웃, 컬러, 타이포 등)하는 것입니다.UI 디자이너의 역할 :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시각적 접점을 설계하는 것입.. 2020. 9. 15. 반응형 레이아웃 그리드 : 머티리얼 디자인 본 글은 구글에서 제시하는 머티리얼 디자인 가이드 중 반응형 레이아웃 그리드의 대부분의 내용을 옮긴 글이며, 일부 편집과 재해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반응형 웹 디자인/레이아웃을 위한 미디어쿼리와 뷰포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번 글에서는 머티리얼 디자인 가이드로 '반응형 레이아웃 그리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레이아웃 그리드 구성 요소 : Columns, Gutters, Margins 레이아웃 그리드는 ①컬럼(열), ②거터, ③여백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Columns (컬럼/열) 컬럼은 컨텐츠를 담는 영역이다. (컨텐츠 배치 시 거터를 포함 또는 불포함) ㅡ 컬럼 너비 : 고정 값이 아닌 백분율로 정의하여 컨텐츠가 다양한 화면 크기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ㅡ 컬럼의 수 .. 2020. 9. 11. 이전 1 다음 반응형